설치관련 추가정보 모음
개인적으로... 귀찮아서 추가적인 설치정보들을 모아놓은 곳입니다.
- 우분투에서 SSL접속용 Certbot 설치
- 우분투에 Redis server 설치
- 우분투에서 Samba mount 에러 : Can't read superblock
- 우분투에서 가장 기본적인 Let's Encrypt 인증서 백업
- Ubuntu PostgreSQL 설치
우분투에서 SSL접속용 Certbot 설치
참고 사이트 : https://certbot.eff.org/instructions?ws=nginx&os=ubuntufocal
사전조건
- sudo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 ssh 서버가 작동중이어야 합니다
- 현재 80번 포트를 사용하는 서비스가 없어야 합니다
진행
다음 명령으로 snapd를 설치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snapd
다음 명령으로 snapd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도 됩니다.
$ sudo snap install hello-world
hello-world 6.4 from Canonical✓ installed
$ hello-world
Hello World!
설치가 제대로 되었다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을지도 모르는 certbot를 삭제해야 합니다.
sudo apt remove certbot
이제 certbot을 설치합니다.
sudo snap install --classic certbot
certbot 심볼릭 링크를 생성합니다.
sudo ln -s /snap/bin/certbot /usr/bin/certbot
만약 NginX를 사용중이라면 다음 명령으로 NginX의 설정파일(.conf)에 자동으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sudo certbot --nginx
그래도 바로 설치하기는 불안하다면, 언제나 다음 명령으로 테스트를 먼저 해볼 수 있습니다. --dry-run 옵션은 언제나 테스트할때 사용합니다.
sudo certbot renew --dry-run
우분투에 Redis server 설치
다음이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sudo apt install lsb-release curl gpg
단순히 apt로 설치를 하면 한참 예전의 Redis 서버가 설치되므로 반드시 다음 명령을 따라합니다.
curl -fsSL https://packages.redis.io/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redis-archive-keyring.gpg] https://packages.redis.io/deb $(lsb_release -cs) main" | sudo tee /etc/apt/sources.list.d/redis.list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redis
설치후에 redis.conf 파일을 수정합니다.
sudo nano /etc/redis/redis.conf
미스키를 사용할 때는 크게 바꿀 것은 없습니다. ^w (Ctrl + w)로 검색하며 변경합니다.
bind 127.0.0.1 -::1 -> bind 0.0.0.0 -::1
port 6379 -> 앞에 주석(#)이 빠져 있어야합니다.
# requirepass foobared
-> 다른 설정을 바꾸지 않으면 누구나 Redis 서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3년 이후의 미스키에서는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위의 foobared를 원하는 비밀번호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 maxmemory <bytes>
-> 만약 메모리 제한을 걸어야 한다면 이 부분의 주석을 제거하고 <bytes> 부분에 용량을 기록합니다.
-> 이 부분을 변경하고 # maxmemory-policy noeviction 의 샵을 제거해도 되지만 noeviction을 다른 모드로 바꾸면 안됩니다.
여기까지 하신 후에 systemctl enable redis-server 명령을 사용하시면 부팅시 활성화됩니다.
바로 시작하려면 systemctl start redis-server 명령을 사용하세요.
보다 섬세한 설정을 하고자 한다면 다음 사이트( https://velog.io/@inhwa1025/Redis-redis.conf-%EC%84%A4%EC%A0%95-%ED%8C%8C%EC%9D%BC-%EC%A3%BC%EC%9A%94-%EC%98%B5%EC%85%98-%EC%A0%95%EB%A6%AC )를 참고하세요. 단 설정을 바꾼 후에는 systemctl status misskey나 service misskey status로 경고 메시지를 주의깊게 확인하셔야 합니다.
우분투에서 Samba mount 에러 : Can't read superblock
대부분의 경우 연결해야 하는 서버측의 파일 시스템에 삼바용 ACL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합니다.
설정 상태를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우분투에서 가장 기본적인 Let's Encrypt 인증서 백업
이 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백업하기
다음 명령을 실행해서 백업파일을 만듭니다.
cd ~/ && sudo tar zpcvf 2020-11-10-letsencrypt-backup.tar.gz /etc/letsencrypt/
이 명령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압축파일이 만들어집니다. 이것을 scp 명령등을 이용해 원하는 장소에 전송합니다.
중요한 이야기지만, 현재 인증서가 들어 있는 서버의 다른 폴더에 저장해 두는 것은 절대 백업이 아닙니다.
scp ~/압축파일.tar.gz 대상서버의_아이디@대상서버주소:/home/대상서버의_아이디의_홈_디렉터리
처음 접속하면 키 값 저장할거냐고 하는데 Yes 하시면 됩니다. 비밀번호를 물어보면 대상서버의 아이디에 해당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전송이 완료되면 백업이 된 것입니다.
복구하기
다시 scp 명령등으로 파일을 가져와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면 끝입니다.
sudo tar zxvf 2020-11-10-letsencrypt-backup.tar.gz -C /
주의사항
인증서는.... 유효기간이 끝나기 전에 잃어버리면 끝장납니다. 절대 다시 받지도 못합니다. 기를 쓰고 백업해야 합니다.
Ubuntu PostgreSQL 설치
공식 사이트를 참조했습니다.
제일 속편한 저장소를 이용한 설치방법입니다. 설치 전에 미리 다운로드 가능한 가장 최신버전을 확인하신 후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 적혀있는 것은 입력하지 않습니다 (아시죠?)
# Create the file repository configuration:
sudo sh -c 'echo "deb https://apt.postgresql.org/pub/repos/apt $(lsb_release -cs)-pgdg main" > /etc/apt/sources.list.d/pgdg.list'
# Import the repository signing key:
wget --quiet -O - https://www.postgresql.org/media/keys/ACCC4CF8.asc | sudo apt-key add -
# Update the package lists:
sudo apt-get update
# Install the latest version of PostgreSQL.
# If you want a specific version, use 'postgresql-12' or similar instead of 'postgresql':
sudo apt-get -y install postgresql
설치 후 나오는 메시지를 천천히 읽어보시면 어느 위치에 어떤 설정파일이 있는지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절대로 잊지 마시고 위치를 기억해 두세요.